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589161
원 작성자 : Someday
사실 칩셋은 저번 심화편에 나오는 pt만 볼 줄 알면 크게 문제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글은 그래서 그렇게 필수적인 내용은 아님.
대부분은 아마 미세한 스탯 하나 버리기 싫어하는 극한의 효율충들에게나 도움이 될 거다.
그럼에도 글을 쓰는 이유는 념글을 보면서 궁금한 점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 내용을 알고 나서 버리든 말든 그건 각자의 몫임.
0. 복습
저번 글에 있던 칩셋을 보자. 주황색은 딱 봐도 구리게 생긴 걸 알 수 있다. 그런데 다른 하나는?
분명히 토우 장전한계는 3pt라고 했으니 딱 맞는 스탯이다. 근데 저게 구리다고? 왜일까?
1. "스탯이 몰리면 안 좋다?"
념글을 읽다보면 이런 말이 있다. 토우 장전 3pt짜리를 쓰면 다른 스탯에서 손해를 본다.
이 말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음.
1) 토우 스탯 한계치는 살상17pt 파쇄10pt 정밀10pt 장전3pt
2) 장전 3pt짜리를 쓴다 = (장전 1pt짜리 x 3개가 아니라) 3pt짜리 x 1개를 쓴다.
3) 연쇄적으로 다른 칩셋에서 1pt든 2pt든 더 뭉친 스탯을 써야 한다.
4) 이거는 손해다.
다시 한 줄 요약 : 스탯이 몰려서 뭉쳐있으면 손해를 본다.
이유는 사실 저번 심화편에 나와 있었다. pt당 수치가 소수점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살펴 보자.
살상 1pt = 4.4
파쇄 1pt = 12.7
정밀 1pt = 7.1
장전 1pt = 5.7
실제로 게임 안에선 이를 올림해서 살상5, 파쇄13, 정밀8, 장전6으로 표기한다.
슬슬 감 오지? 정밀을 예로 들어보자.
정밀 1pt짜리 1개는 8.
정밀 1pt짜리 2개는 16.
그럼 정밀 2pt짜리 1개는?
답은 16이 아니라 15이다.
7.1 + 7.1 = 14.2 ☞ (올림) ☞ 15
이렇게 되기 때문이다. 1pt짜리 2개를 썼으면 8+8 이었겠지만, 2pt짜리는 14.2 부터 시작해서 올림을 한 번만 받았기 때문.
8x2는 15. 이게 우중식 기적의 구구단이다. 기억해라, 1x2는 2x1과 다르다.
한 줄 요약 : pt를 뭉칠수록 올림을 받아먹을 기회가 줄어든다. 여기서 효율의 하락이 발생함.
밀의 효율표는 그걸 말하는 것이다. 보면 알겠지만 효율이 감소하지 않는 구간도 있다. 념글에 몇pt짜리 추천한다는건 이것들을 감안해서 말하는 거임.
이제 다시 처음 나온 칩셋을 보면 왜 저 칩셋을 비추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거다. 이게 다 소수점 때문임. 직관적인 pt대신 포장을 씌울거면 간결하게 자연수나 쓸 것이지 소수점을 써서 괜히 쓸데없이 복잡해졌다. 우중이 씨발새끼야.
일단 설명은 해두는데 여기까지 따져가며 칩셋 테트리스 맞추기는 쉽지 않을거라고 생각함. 칩셋이 로또라 화력소대에 맞는 모양과 스탯을 동시에 챙기기 쉽지 않거든. 양심적으로 스탯 교정은 하게 해줘야 된다 리얼루다가. 하튼 그러니까 그냥 화력소대 한계치 pt만 적당히 맞추는 것도 괜찮을 것 같긴 함. 물론 고인물들은 이런 사소한 것까지 챙기겠지만.
2. "ㅇㅇ"스탯을 버린다
심화편을 읽고 칩셋 시뮬하다보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화력소대 스탯 한계치를 채울 수가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 구체적으로 한번 살펴보자.
각 화력소대가 5성일 때 판 모양이다. 토우는 6x6 정사각형이고 유탄 박격은 하튼 저렇게 생김.
몇 칸인지 세보면 토우는 36칸, 유탄은 38칸, 박격은 32칸이다.
여기서... 기억나냐? 칩셋은 자기 칸수만큼 pt를 가지고 있다고.
즉 토우는 36pt, 유탄은 38pt, 박격은 32pt를 끼울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 각 화력소대의 한계치는 얼마였지?
토우 (총 40pt 필요)
살상 17pt
파쇄 10pt
정밀 10pt
장전 3pt
유탄 (총 38pt 필요)
살상 10pt
파쇄 5pt
정밀 7pt
장전 16pt
박격포 (총 35pt 필요)
살상 20pt
파쇄 2pt
정밀 5pt
장전 8pt
유탄은 38pt가 필요한데 38pt까지 끼울 수 있으니 문제가 없다.
다만 토우랑 박격은 이야기가 다르다. 각각 40pt, 35pt가 있어야 만스탯인데 끼울 수 있는 건 36pt, 32pt 뿐이다.
념글에서 칸수가 부족하다는건 이걸 말하는 것이고, 어떤 스탯은 포기해야 함.
어떤 스탯을 버리냐고? 그건 나도 모르겠음. 보통 토우는 파쇄나 정밀 중에서 선택하는 것 같고, 박격포는 골고루 적당히 버리는 것 같다.
대체로 정밀의 효율이 너무 낮아서 정밀을 포기하는게 공통적으로 언급된다. 하지만 그래도 정밀을 포기하는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 외 스탯을 포기해야 함.
애초에 당장 화력소대를 활용할 전역도 없고, 우중이가 화력소대를 개편할 의향도 비췄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어느 쪽이 맞다고 말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2~3스탯을 정해서 그거부터 챙기고, 나머지 뭘 버릴지는 칩셋 나오는 꼬라지 보고 적당히 따라가면 될 것 같음. 요정은 내가 언제 선택해서 키웠나? 나오니까 키웠지 ㅎㅎ
3. 념글 효율표가 다르다?
별로 중요한건 아닌데 나처럼 혼란에 빠지지 말라고 언급은 해둠.
념글을 쭉 읽다보면 효율표나 pt 스탯 강화 수치가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0강 100%짜리 살상을 보면 13~55 vs 11~55 두 가지 버전이 있음.
????????
정답은 둘 다 맞다. 미카팀이 계산식을 잘못 적용해서 일어난 일임. 이제 익숙하지? ㅎ
구체적으로 말하면 계산식에서 올림 적용하는 순서를 틀려서 그래.
그래서 하나는 원래 미카팀이 의도했던 계산식에 따른 거고
나머지 하나는 현재 인게임 수치(계산식이 잘못 적용된)를 정리한 표이다.
버그리폿했고 2022 버전에선 고친다는데 어찌될진 모르겠음. 다른 갤럼한테 물어보기론 그래봐야 별차이 없다니까 편한대로 쓰면 될 것 같다. 일단 앞선 글들은 현재 인게임 적용된 것 기준으로 정리했음.
4. 스탯이냐 모양이냐?
창고정리를 하면서 강화를 할 때 선택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다. 다음 중 어느 쪽을 키우는게 좋을까?
1) 모양은 그럴싸한데 스탯이 좀 별로임.
2) 스탯은 이쁘게 뽑혔는데 생긴게 써먹기 어려워 보임.
이건 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위 같은 경우라면 2번을 키우라고 추천하고 싶다. 모양이 써먹기 어려워 보이는건 쓸지도 안쓸지도 모르지만, 스탯이 아쉬운건 최종적으로 버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칩셋을 볼 때는 우선 스탯부터 체크하는게 효율적이라고 생각함. 물론 6칸 짜리와 5칸 b형 한정이고 어차피 얘들 아니면 스탯도 떨어지니까 같은 얘기임.
예외적으로 히든처럼 당장 실전에 써야 하고, 스탯이 필요한 경우라면 테트리스판에 장착된 얘들 먼저 강화할 수 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위 내용을 가이드라인으로 잡으면 무난할 듯.
지금까지 내가 칩셋 공부하면서 궁금했던 점들은 거의 다 정리한 것 같다. 새로운 내용보다는 이미 있던 내용들 이유 설명하고 해설하고 순서대로 정리하는데 포인트를 두었음. 칩셋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이라면 입문편부터 심화편 기타편까지 차례대로 보는게 이해하기 쉬울 거라고 생각한다. 이게 이해의 뼈대이고, 그 밖에 자잘한 계산 생략한 것도 있는데 그건 잔가지쯤 되는 내용이니 각자 살펴보면 될 것 같음.
념글에 칩셋 정보 정리해준 갤럼들한테 다시 한번 감사하고, 이 글도 갤럼들한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그럼 ㅂㅂ
'화력소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칩셋 가이드 심화편 (0) | 2020.07.25 |
---|---|
화력소대 장전구간표 (BGM-71 ~ QLZ-04) (0) | 2020.07.25 |
시트제보용) 화력소대 설비 개방 조건 (0) | 2020.07.25 |
심심해서 계산해 본 살상 vs. 정밀 승부존 (0) | 2020.07.25 |
중장비 4옵 전부 100%를 못 찍는 이유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