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589161

원 작성자 : Someday

 

 

 

사실 칩셋은 저번 심화편에 나오는 pt만 볼 줄 알면 크게 문제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글은 그래서 그렇게 필수적인 내용은 아님.

대부분은 아마 미세한 스탯 하나 버리기 싫어하는 극한의 효율충들에게나 도움이 될 거다.

그럼에도 글을 쓰는 이유는 념글을 보면서 궁금한 점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 내용을 알고 나서 버리든 말든 그건 각자의 몫임.



0. 복습

저번 글에 있던 칩셋을 보자. 주황색은 딱 봐도 구리게 생긴 걸 알 수 있다. 그런데 다른 하나는?

분명히 토우 장전한계는 3pt라고 했으니 딱 맞는 스탯이다. 근데 저게 구리다고? 왜일까?



1. "스탯이 몰리면 안 좋다?"

념글을 읽다보면 이런 말이 있다. 토우 장전 3pt짜리를 쓰면 다른 스탯에서 손해를 본다.

이 말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음.


1) 토우 스탯 한계치는 살상17pt 파쇄10pt 정밀10pt 장전3pt

2) 장전 3pt짜리를 쓴다 = (장전 1pt짜리 x 3개가 아니라) 3pt짜리 x 1개를 쓴다.

3) 연쇄적으로 다른 칩셋에서 1pt든 2pt든 더 뭉친 스탯을 써야 한다.

4) 이거는 손해다.


다시 한 줄 요약 : 스탯이 몰려서 뭉쳐있으면 손해를 본다.


이유는 사실 저번 심화편에 나와 있었다. pt당 수치가 소수점이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살펴 보자.


살상 1pt = 4.4

파쇄 1pt = 12.7

정밀 1pt = 7.1

장전 1pt = 5.7


실제로 게임 안에선 이를 올림해서 살상5, 파쇄13, 정밀8, 장전6으로 표기한다.

슬슬 감 오지? 정밀을 예로 들어보자.


정밀 1pt짜리 1개는 8.

정밀 1pt짜리 2개는 16.

그럼 정밀 2pt짜리 1개는?


답은 16이 아니라 15이다.

7.1 + 7.1 = 14.2 ☞ (올림) ☞ 15

이렇게 되기 때문이다. 1pt짜리 2개를 썼으면 8+8 이었겠지만, 2pt짜리는 14.2 부터 시작해서 올림을 한 번만 받았기 때문.

8x2는 15. 이게 우중식 기적의 구구단이다. 기억해라, 1x2는 2x1과 다르다.


한 줄 요약 : pt를 뭉칠수록 올림을 받아먹을 기회가 줄어든다. 여기서 효율의 하락이 발생함.

밀의 효율표는 그걸 말하는 것이다. 보면 알겠지만 효율이 감소하지 않는 구간도 있다. 념글에 몇pt짜리 추천한다는건 이것들을 감안해서 말하는 거임.


이제 다시 처음 나온 칩셋을 보면 왜 저 칩셋을 비추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거다. 이게 다 소수점 때문임. 직관적인 pt대신 포장을 씌울거면 간결하게 자연수나 쓸 것이지 소수점을 써서 괜히 쓸데없이 복잡해졌다. 우중이 씨발새끼야.

일단 설명은 해두는데 여기까지 따져가며 칩셋 테트리스 맞추기는 쉽지 않을거라고 생각함. 칩셋이 로또라 화력소대에 맞는 모양과 스탯을 동시에 챙기기 쉽지 않거든. 양심적으로 스탯 교정은 하게 해줘야 된다 리얼루다가. 하튼 그러니까 그냥 화력소대 한계치 pt만 적당히 맞추는 것도 괜찮을 것 같긴 함. 물론 고인물들은 이런 사소한 것까지 챙기겠지만.



2. "ㅇㅇ"스탯을 버린다

심화편을 읽고 칩셋 시뮬하다보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화력소대 스탯 한계치를 채울 수가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 구체적으로 한번 살펴보자.


각 화력소대가 5성일 때 판 모양이다. 토우는 6x6 정사각형이고 유탄 박격은 하튼 저렇게 생김.

몇 칸인지 세보면 토우는 36칸, 유탄은 38칸, 박격은 32칸이다.

여기서... 기억나냐? 칩셋은 자기 칸수만큼 pt를 가지고 있다고.

즉 토우는 36pt, 유탄은 38pt, 박격은 32pt를 끼울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 각 화력소대의 한계치는 얼마였지?


토우 (총 40pt 필요)

살상 17pt

파쇄 10pt

정밀 10pt

장전 3pt


유탄 (총 38pt 필요)

살상 10pt

파쇄 5pt

정밀 7pt

장전 16pt


박격포 (총 35pt 필요)

살상 20pt

파쇄 2pt

정밀 5pt

장전 8pt


유탄은 38pt가 필요한데 38pt까지 끼울 수 있으니 문제가 없다.

다만 토우랑 박격은 이야기가 다르다. 각각 40pt, 35pt가 있어야 만스탯인데 끼울 수 있는 건 36pt, 32pt 뿐이다.

념글에서 칸수가 부족하다는건 이걸 말하는 것이고, 어떤 스탯은 포기해야 함.


어떤 스탯을 버리냐고? 그건 나도 모르겠음. 보통 토우는 파쇄나 정밀 중에서 선택하는 것 같고, 박격포는 골고루 적당히 버리는 것 같다.

대체로 정밀의 효율이 너무 낮아서 정밀을 포기하는게 공통적으로 언급된다. 하지만 그래도 정밀을 포기하는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 외 스탯을 포기해야 함.

애초에 당장 화력소대를 활용할 전역도 없고, 우중이가 화력소대를 개편할 의향도 비췄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어느 쪽이 맞다고 말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2~3스탯을 정해서 그거부터 챙기고, 나머지 뭘 버릴지는 칩셋 나오는 꼬라지 보고 적당히 따라가면 될 것 같음. 요정은 내가 언제 선택해서 키웠나? 나오니까 키웠지 ㅎㅎ



3. 념글 효율표가 다르다?

별로 중요한건 아닌데 나처럼 혼란에 빠지지 말라고 언급은 해둠.

념글을 쭉 읽다보면 효율표나 pt 스탯 강화 수치가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0강 100%짜리 살상을 보면 13~55 vs 11~55 두 가지 버전이 있음.

????????

정답은 둘 다 맞다. 미카팀이 계산식을 잘못 적용해서 일어난 일임. 이제 익숙하지? ㅎ

구체적으로 말하면 계산식에서 올림 적용하는 순서를 틀려서 그래.


그래서 하나는 원래 미카팀이 의도했던 계산식에 따른 거고

나머지 하나는 현재 인게임 수치(계산식이 잘못 적용된)를 정리한 표이다.


버그리폿했고 2022 버전에선 고친다는데 어찌될진 모르겠음. 다른 갤럼한테 물어보기론 그래봐야 별차이 없다니까 편한대로 쓰면 될 것 같다. 일단 앞선 글들은 현재 인게임 적용된 것 기준으로 정리했음.



4. 스탯이냐 모양이냐?

창고정리를 하면서 강화를 할 때 선택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다. 다음 중 어느 쪽을 키우는게 좋을까?


1) 모양은 그럴싸한데 스탯이 좀 별로임.

2) 스탯은 이쁘게 뽑혔는데 생긴게 써먹기 어려워 보임.


이건 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위 같은 경우라면 2번을 키우라고 추천하고 싶다. 모양이 써먹기 어려워 보이는건 쓸지도 안쓸지도 모르지만, 스탯이 아쉬운건 최종적으로 버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칩셋을 볼 때는 우선 스탯부터 체크하는게 효율적이라고 생각함. 물론 6칸 짜리와 5칸 b형 한정이고 어차피 얘들 아니면 스탯도 떨어지니까 같은 얘기임.

예외적으로 히든처럼 당장 실전에 써야 하고, 스탯이 필요한 경우라면 테트리스판에 장착된 얘들 먼저 강화할 수 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위 내용을 가이드라인으로 잡으면 무난할 듯.



지금까지 내가 칩셋 공부하면서 궁금했던 점들은 거의 다 정리한 것 같다. 새로운 내용보다는 이미 있던 내용들 이유 설명하고 해설하고 순서대로 정리하는데 포인트를 두었음. 칩셋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이라면 입문편부터 심화편 기타편까지 차례대로 보는게 이해하기 쉬울 거라고 생각한다. 이게 이해의 뼈대이고, 그 밖에 자잘한 계산 생략한 것도 있는데 그건 잔가지쯤 되는 내용이니 각자 살펴보면 될 것 같음.


념글에 칩셋 정보 정리해준 갤럼들한테 다시 한번 감사하고, 이 글도 갤럼들한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그럼 ㅂㅂ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589119

원 작성자 : Someday

 

 

이번 심화편에선 주로 스탯을 효율적으로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거다. 저번 입문편은 정말 기초적인 내용만 다뤘기 때문에 칩셋 제대로 보려면 최소한 이번 심화편까진 이해해야 할 거라고 생각함. 참고로 테트리스판 퍼즐은 알아서 씽크빅하자. 별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도 아니고.


0. 들어가기 전에


이 칩셋을 봐줘. 어떻게 생각해?



1. pt가 뭐임?

스탯을 효율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이 pt이다. 지난 글에선 그냥 대략적으로 각 화력소대 비율에 맞춰 칩셋을 고르라고 했지만, 정확하게 세팅을 하려면 그것만으론 부족함. 근데 칩셋이고 화력소대고 숫자가 지저분하잖아? 그래서 pt라는걸 사용한다. 그럼 우선 pt가 뭔지부터 알아야겠지?


rpg게임 캐릭터를 만든다고 생각해 보자. 전사 도둑놈 마법사 꼴리는 대로 선택하고 나니 스탯 찍을 차례가 옴.

여기 힘, 민첩, 지능, 체력 4가지 스탯이 있고 6 포인트가 주어진다. 스탯은 어떻게 찍을까?

예를 들어 법사라면 지능을 많이 찍고, 도둑놈이면 민첩을 많이 찍어야 무난하게 게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힘법사같은 변태짓은 하지 말고.


칩셋 pt가 이런 개념이다. 칩셋이 가지고 있는 (가상의) 포인트를 pt라고 부른다.

이 pt는 한 칸에 1pt씩 있어서 6칸짜리 칩셋은 6pt, 5칸짜리 칩셋은 5pt를 가지게 된다.

이걸 살상에도 찍고 파쇄에도 찍고 하는 거임.

지난 글에서도 나왔듯이 화력소대(직업)에 따라 칩셋(캐릭터)이 스탯을 잘 찍어야 좋은 칩셋이다. 물론 랜덤이지만.



다만 pt라는건 인게임에서 알려주지 않고, 살상 몇, 파쇄 몇 등등 구체적인 수치로 나오기 때문에 이를 pt로 변환해서 봐야 한다. 1pt를 찍었을 때 각 스탯의 수치는 아래와 같음.


1pt = 살상 4.4 = 파쇄 12.7 = 정밀 7.1 = 장전 5.7



2. pt를 쓰는 이유

여기까지 설명하면 저걸 굳이 왜 변환해서 봐야 돼? 귀찮게시리.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이유를 한번 짚고 넘어가려고 함.

지난글 스탯 보는 법을 보면 알겠지만, 칩셋이라는 것은 결국 화력소대 스탯 한계치에 칩셋의 스탯을 끼워넣는 일이다.

문제는 칩셋을 그냥 쓰는게 아니라 강화를 한다는 것.

그렇잖아? 칩셋 그냥 쓸거임? 강화해서 써야지.

즉, 너가 분석을 돌려 얻는 칩셋은 노강 상태인데, 화력소대에 있는 스탯한계치는 20강 기준의 칩셋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칩셋(노강) ☞ +20강 ☞ 화력소대(한계치, 20강 기준)


이 강화 부분을 계산하지 않으면 스탯이 오버될지, 반대로 부족하게 될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칩셋과 화력소대 스탯치끼리 비교하려면 중간에 저 강화하는 부분을 계산해줘야 함.

그래서 pt라는 개념을 쓰는 거다. 한 쪽은 노강 기준, 한 쪽은 20강 기준이니 근본적인 스탯인 pt를 뽑아서 비교하는 거임.

pt를 쓰면 강화수치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숫자가 줄어들어서 보기 편하다. 더 직관적임. 고로 앞으로도 계속 pt기준으로 이야기할거다.



3. 칩셋과 화력소대의 비교(feat. pt)

칩셋 스탯하고 화력소대 스탯 한계치랑 비교하려고 구체적인 숫자를 pt로 변환해서 본다. 여기까지 했지?

이제 기본적인 개념은 정리했으니 본론으로 들어간다. 칩셋 스탯도 pt로 변환하고 화력소대 스탯 한계치도 pt로 변환한 다음, 이걸 어떻게 끼워 맞출지 생각해보는 거임.


(1) 칩셋

먼저 칩셋 쪽을 살펴보자. 1pt를 찍었을 때, 각 스탯의 수치는?

살상 1pt = 4.4

파쇄 1pt = 12.7

정밀 1pt = 7.1

장전 1pt = 5.7


노강 상태이고, 분석기에서 갓 나온 칩셋 스탯이 저거랑 비슷할 것이다. 물론 실제 인게임에서 소수점은 올림처리하니까 눈에 보이는건 다음과 같다.

살상 1pt = 5

파쇄 1pt = 13

정밀 1pt = 8

장전 1pt = 6


그러니까 만약 살상5 파쇄26 정밀8 장전12인 칩셋이 있다면, 살상1pt 파쇄2pt 정밀1pt 장전2pt 이렇게 6pt를 분배한 것이다. 6pt니까 6칸 짜리라는 것도 알 수 있겠지?

아 참고로 이건 100%짜리 6칸하고 5칸b형 기준이다. 5칸 a형 이하는 페널티를 받아서 저거보다 수치가 더 낮다. 글 읽을 때 5칸 a형 이하는 머릿속에서 지워버려.


(2) 화력소대

다음은 화력소대의 스탯한계치를 pt로 변환해보자.


자세한 내용은 위 표에 나오는데 전부다 알 필요는 없고, 아래 내용만 기억해두면 됨. 나중에 심심하면 표 보면서 어떻게 pt 수치 뽑았는지 해보든가.


토우

살상 17pt

파쇄 10pt

정밀 10pt

장전 3pt


유탄

살상 10pt

파쇄 5pt

정밀 7pt

장전 16pt


박격포

살상 20pt

파쇄 2pt

정밀 5pt

장전 8pt



위 화력소대 수치들은 념글 참고해서 한번 정리한 거임. 보기 편하라고. 어차피 결론적으론 저 수치에 맞춰야 하니까.

설명하자면 각 화력소대는 위 pt 이상의 스탯은 받아먹을 수가 없음. 파란색 칩셋에 장전 5pt짜리가 달려있어봤자 3pt밖에 못 얻어먹는다는 말임. 법사가 힘스탯 잔뜩 찍은 꼴이지.

반대로 파란색 칩셋에 살상3pt 파쇄1pt 정밀1pt 장전1pt 이런게 나오면 ㄳㄳ하고 열심히 강화해서 쓰면 됨. 스탯한계치 안 넘고 비율도 적절한 좋은 칩셋이니까.

참고로 저기서 1pt당 각 스탯의 수치, 화력소대별 스탯한계치(pt기준)는 기억해두는게 좋다. 부담 가질건 없고 즐겨찾기 하고 계속 보고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외워짐.



4. 결론

마지막으로 정리하자. 앞으로 너가 칩셋을 볼 때는 각 스탯을 pt로 변환해서 봐야 함. 그리고 저기 pt로 계산된 화력소대 한계치에 끼워넣어 보는 거지. 그래서 끼우기 쉬우면 좋은 칩셋이고, 어려우면 구린 칩셋임.

다시 맨 위로 가서 칩셋을 봐. 좋은 칩셋인지 나쁜 칩셋인지 알겠어? 여기까지가 심화편이다.

참고로 정답은 둘 다 나쁜 칩셋임. 하나는 빼박인데 하나는 좀 미묘하지? 왜 그런지는 다음 기타편에서 알아보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1254700

원 작성자 : HS2000

 

 

 

http://gfsheet.egloos.com/6680350

 

위 링크의 념글에 알려진 것 이후로 변동사항 없는 듯 싶어서 올림.

 

그리고 하단 링크의 내용에 있다시피 QLZ도 풀스탯 가능하고.

 

http://gfsheet.egloos.com/6680351

 

이하 내용은 표에 대한 부연설명

 

 

 

색을 진하게 칠한 부분은 버전업 했을 때, 소위 말하는 빨별 달아줬을 때 장전 구간임.

 

굵은 글자는 장전 스탯을 한계치까지 꽉 채웠거나, 극옵일 때 기준이야. AGS, M2, QLZ는 풀스탯 채웠을 때고, 나머지는 각각 아래 극옵일 때.

 

BGM-71: 45

2B14: 90

AT4: 65

 

괄호 부분의 8성, 9성이라고 적어둔 건 각 화력소대 사속이 최대치를 찍는 지점의 빨별 갯수야. 저기에서 더 달아줘봐야 발사 간격은 제자리라는 뜻.

 

마지막으로 뒤에 볼드처리 안 한 부분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 장전값이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992092

원 작성자 : ㅇㅇ

 

 

설비 개방 조건이 8-6 클리어가 아니라 8-6 개방

그래서 8-5 깨면 열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752053

원 작성자 : ㅇㅇ

 

 

정밀 공식이 바뀌었음.

 

그리고 파쇄가 필중이 됨.

 

예전에야 파쇄 때문에 정밀을 조금이라도 챙겼지만 이제는 파쇄 때문에 정밀을 챙겨야 할 이유는 사라진 셈이다.

 

심심해서 PT를 살상에 붓는게 나을지 정밀에 붓는게 나을지 계산을 때려봤음.

 

미리 말하지만 결론은 암거나 써라임. 차이 좆도 없다.

 

니가 극한의 성능충에 강박장애 환자라서 꼭 엔드스펙을 맞춰야 성이 찬다면야 모르겠지만.

 

 

 

먼저 박격포는 6PT로 세팅한다. 6PT는 앞으로 우중이가 미쳐서 또 갈아엎지 않는 이상 어떻게 공식이 정해져도 파킨할 위험이 없다.

 

1PT를 살상에 부을지 정밀에 부을지가 갈리게 됨.

 

 

 

정밀에 붓는 쪽이 이겼다. 적 회피가 13 이하부터 살상에 부은 쪽이 이긴다, 차이 보면 알다시피 도토리 키ㅈㅐ기임 ㅋㅋㅋ

 

단 1! 차이남.

 

 

 

토우는 정밀과 살상에 4PT까지 갈린다. 왼쪽부터 살상에 4PT -> 정밀에 4PT 순임.

 

 

 

살상에 붓는 쪽이 이겼다. 역시 도토리 키ㅈㅐ기다. 단 20! 차이남.

 

살상 4PT랑 살상 3PT 정밀 1PT는 차이가 없다.

 

그냥... 대충 쓰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993867

원 작성자 : OTs-14

 

 

 

 

칩셋 한 칸당 붙을 수 있는 최대 스탯을 유저들이 편의상 환산한 수치가 1pt인데, (6칸 칩셋 = 6pt)

 

어차피 강화공식이 바뀌면서 1pt = 스탯 몇이다 이렇게 깔끔하게 잘라 말할 순 없고 포인트가 같아도 스탯 차이가 나게 되는 만큼 이렇게 나누는 것도 의미 없지만

 

거기까지 파고들면 너도 나도 귀찮고 머리 아프잖아. 설명을 위한 거니까 대충 넘어가자.

 

어쨌든 원점으로 돌아와서 다시 한 번 설명하자면 칩셋 한 칸당 붙을 수 있는 스탯을 편의상 1pt로 환산해 부른다.

 

토우 칩셋 슬롯 칸 수를 세어보면 36칸이거든. 그러니까 최대 36pt를 채워넣을 수 있다는 얘기야.

 

그리고 토우 칩셋으로 올릴 수 있는 스탯 상한치를 보면 살상 190 / 파쇄 329 / 정밀 191 / 장전 46이 최대지?

 

강화표에 1pt 20강 스탯을 보면 살상 13, 파쇄 33, 정밀 20, 장전 15씩이야.

 

거듭 말하지만 강화공식이 바뀌면서 pt 몰빵돼 있는 칩셋을 쓸 수록 효율이 떨어지지만 앞서 말했듯이 이거 따지고 들면 너나 나나 피곤하고,

 

무엇보다도 무슨 짓을 해도 4옵 풀스탯은 불가능할 뿐더러 요즘은 pt 갯수보다 최대스탯 잡고 시뮬 돌리잖아? 대충 몽뚱그리고 어가자.

 

 

살상 190 / 파쇄 329 / 정밀 191 / 장전 46을 각각 1pt 20강 스탯으로 나누는 거야. 몇 pt를 채워넣어야 4옵 풀스탯이 맞춰질지 윤곽이 나오겠지?

 

살상

190/13 = 14.6pt

파쇄

329/33 = 9.97pt

정밀

191/20 = 9.55pt

장전

46/15 = 3.06pt (※ 장전은 45만 채워도 한계사속구간 진입하니까 3pt로 치자.)

 

합하면 37.6pt 나옴

 

 

앞서 말했듯 36칸(36pt)이 상한인데, 38pt는 채워야 돼. 최소 두 칸 더 뚫려 있어야 4옵 100%가 가능하단 얘기임.

 

토우만 그런 게 아니라 AGS-30, M2를 제외한 중장비 3종 전부 다 칩셋 슬롯이 이 따위다.

 

 

이걸로도 이해 안 되면 그냥 이 새끼 설명 좆같이 못 하는구나 하고 넘어가면 됨. 어차피 귀담아 들을 필요도 없는 글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cateam&no=999288

원 작성자 : OTs-14

 

 

 

 

 

 

 

https://gf-sheet-link.tistory.com/35

 

※ 프리셋 기능 추가돼서 새로 글 썼다. 밑에 있는 내용들은 안 읽어도 되니 요거나 봐라.

 

 

저번에 중장비 칩셋 스탯을 전부 100% 채울 수 없는 이유(링크)를 쓴 적이 있는데 왜 그런 건지 지엽적으로나마 알고 싶은 놈들이나 시간 남으면 대충 훑어보고,

 

쌩으로 돌리면 100% 못 채우는 거 이미 잘 알고 있으니까 필요한 것만 알려달라 할 놈들은 저거 안 봐도 된다. 본문에도 써놨지만 별로 쓸데없는 얘기니까.

 

시뮬 돌리고는 싶은데 좆도 복잡한 거 싫은 친구들을 위해 서문에서 쓸데없는 잡설 늘어놓는 거 빼면 군소리 않고 필요한 것만 정리할 거니까 그냥 따라해라.

 

여기선 가장 기본적인 칩셋시뮬 활용법이랑 각 중장비별로 맞춰야 할 스탯 상한수치에 대해서만 다룰테니 심화과정을 원한다면 공지에 있는 시트 정독하기 바람

 

거지런 돌리면서 깨작깨작 쓰는 거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이건 좀 아니다 싶은 부분 지적해 주라

 

 

 들어가기에 앞서

 

 

칩셋시뮬레이터 5.n 버전(맞나?) 이후로 직접 프리셋을 지원하는데,

 

본문에서 얘기할 내용과 완전히 똑같은 옵션이므로 시뮬 돌릴 때 이것만 건드려 줘도 아래 내용들은 읽을 필요가 전혀 없다.

 

칩셋 추출하는 법만 대충 보고, 수동으로 일일이 필터 걸고 스탯 상한 걸고 태그 맞추는 귀찮은 짓 하지 말고 편하게 하자.

 

그래도 읽고 싶으면 읽어보든가.

 

 

 

  칩셋 추출하기

 

앱플레이어로 칩셋조합기 칩셋 데이터 추출하기 (링크)

 

 

  필터링과 스탯 상한 세팅

 

 

필터를 눌러 준다. 필터 걸어주면 분석 끝내는 속도부터가 다르니 병종 막론하고 일단 눌러라. 그런 다음 아래 설명할 병종별 세팅을 참고해 필터를 설정한다.

 

좀더 빠르게 분석을 마치기 위한 조치이니 좀 늦어도 상관없다면 필터링 건드리지 말고 후술할 스탯 상한만 조정하면 됨.

 

극옵 안 맞춰도 되니 약간, 아니 좀 많이 느려도 최대한 칩셋 맞춰지는 경우의 수를 늘리고 싶다면 그냥 포인트범위 필터링 걸지 마라.

 

 

 

병종별/세팅별 필터링을 마쳤다면 분석을 돌리기 전에 꼭! 꼭 설정버튼을 눌러주자.

 

이거 세팅 안 하고서 퍼센트 왜 이렇게 낮게 나오냐 묻지 말고 꼭 눌러라.

 

 

 

톱니바퀴를 누르면 이런 게 뜬다. '스탯' 체크박스를 클릭해주고 역시 아래를 참고해 스탯별 상한을 설정해준 뒤 확인을 누르고

 

 

 

분석을 돌리면 끝이다. 필요한 스탯만 맞춰지게끔 상한선을 맞춰놓고 돌리는 거니까 칩셋만 제대로 준비돼 있다면 100%가 뜬다.

 

 

 

  칩셋 맞추는 순서(난이도별 정렬)

 

청색 칩: BGM-71 > AT-4 > M2

적색 칩: 2B14 > AGS-30

 

어려운 것부터 먼저 맞춰 놓고 쉬운 걸 나중에 맞춰야 여러 모로 편해진다. 바로 밑에 설명할 마킹/태그를 적극 활용하도록 하자.

 

 

 

  분석결과 저장 및 마킹/태그처리

 

 

 

저장버튼 보이지? 중장비 5성까지 맞춘 상태에서 돌렸다면 그냥 바로 맞추면 되지만, 아니라면 분석결과 저장해놓고 나중에 5성 찍고 나서 다시 참고하자.

 

설마 칩셋 맞출 때마다 분석 계속 돌려보고 맞출래. 아니지?

 

극옵 혹은 네가 원하는 세팅이 떴으면 우하단 마킹 버튼을 눌러주자. 다음에 다른 중장비를 맞출 때 중복으로 잡히는 칩셋을 거를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중장비 칩셋 분석 돌릴 때 이렇게 마킹 칩 비율을 '0'으로 해두면 마킹해둔 칩셋은 빼고 나머지 칩셋으로 분석하게 된다.

 

상기해둔 중장비 칩셋 세팅 난이도순으로 분석하며 원하는 세팅이 뜨는 대로 마킹해주자.

 

 

 

위처럼 분석 설정에서 마킹을 하는 대신 태그를 걸고 이렇게 해 버려도 됨.

 

 

 

  극옵은 어떻게 맞춰?

 

각 병종별 극옵 기준으로 맞춰놨으니 그대로 돌려보고 100% 뜰 때까지 존버하면 됨.

 

 

 

  약간 타협하려면 어떻게 해야 돼?

 

포인트범위 하한 0으로 놓고 상한 1씩 늘려라. 상한은 5가 최대다.

 

 

 

  BGM-71

 

 

5성 6칸/5B 말고 안 쓸 거니까 빨갛게 표시해둔 부분 전부 체크해주고 포인트 범위 설정은 니가 맞출 토우 세팅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다.

 

밑에서도 설명할 거지만 둘 중 어느 세팅을 맞추든 차이 없다시피 하니 먼저 맞춰지는 걸 쓰되

 

다른 세팅으로 돌릴거면 필터링을 다시 해줘야 한다. 안 그러면 분석 돌려봐야 안 돌아가거나 잡세팅밖에 안 나오는 일이 생긴다.

 

중요하니까 이 부분 빼먹고 넘어가놓고선 왜 분석이 안 되지 하면서 재차 질문하지 말고 꼭 명심해라.

 

 

  1안 (13/10/10/3 pt)

 

 

 

 

  2안 (16/10/7/3 pt)

 

 

 

 

두 세팅간 차이 좆도 없으니까(참고 링크) 둘 다 돌려보고 먼저 맞춰지는 거 써라.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도 스탯을 최대한 챙기고자 한다면 2안을 추천.

 

재차 설명하지만 필터 켜서 세팅 바꿔 돌릴 때 포인트범위 꼭 바꿔주고 돌려라.

 

극옵에 연연하지 않는다면 정밀 제한구간 0~2로 약간 완화해주고 근사값으로 맞추자.

 

 

  AGS-30

 

 

5A까지 써도 상관없음. 뭣하면 4칸까지도. 아래 M2 부분에서도 설명할 테지만 M2도 4칸or4성까지 맞춰도 스탯이 맞춰지나, 강화해야 할 칩셋 가짓수가 늘어난다.

 

이 덕분에 강화할 때 다소간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적절히 재량껏 취사선택할것.

 

 

 

별다른 세팅 안 해줘도 칩만 제대로 준비돼 있으면 무조건 100%가 뜨니까 건드릴 필요 없다. 역시 아래에서 설명할 테지만 M2도 마찬가지.

 

 

 

  2B14

 

  1안 (19/2/5/6 pt)

 

 

6/5B만 씀. 토우와 맞먹을 정도로 칩셋 조건이 빡빡하다.

 

 

 

 

  2안 (20/2/4/6 pt)

 

 

살상 7을 더 챙기면서 19/2/5/6에 비해 칩셋 조건에 여유가 생긴다. 살상 몰빵된 칩셋을 쓴다는 조건 하에 5A 한두 개 정도는 수비 범위 안.

 

 

 

 

 

  3안 (20/1/5/6 pt)

 

 

2안과 마찬가지로 살상을 약간 더 챙기다 보니 조건이 비교적 널널하다.

 

 

 

BGM-71과 마찬가지로 셋 차이 좆도 없으니(참고 링크) 마구 돌려보고 100% 맞춰지는 거 써라. 토우랑 마찬가지로 바꿔 돌릴 때 필터 바꿔주는 거 잊지 마라.

 

 

  M2

 

 

AGS-30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세팅 안 해줘도 칩만 제대로 준비돼 있으면 무조건 100%가 뜨니까 톱니바퀴 건드리지 말고 그냥 돌려라.

 

4칸을 넣냐 빼냐는 네 재량으로 결정하면 되는데, 칩셋 맞추기가 좀더 쉬워지는 대신 분석이 느리고

 

다 맞추고 나서도 강화해야 할 칩셋 가짓수가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택은 니 몫임.

 

3칸까지는 비워도 공명보너스 100% 받아먹으면서 풀옵 맞출 수 있고, 도저히 칩셋이 안 맞춰진다 싶으면 4성 몇 개 채워넣어도 맞출 수 있을 정도이므로 참고

 

 

  AT-4

 

  1안 (6칸만으로 세팅)

 

 

 

 

2안에 비해 살상 1이 모자라다. 1pt가 아니라 단 1! 모자라다. 극옵 신경쓴다면 2안 돌려라. 신경 안 쓰면 이걸로 돌리든가.

 

 

  2안 (6칸+5A+5B 세팅)

 

 

1안에 비해 살상 1이 더 뜬다. 단 1! 더 뜬다. 전투에서 이 차이가 느껴질 정도면 니가 탈인간이란 소리다.

 

그래도 살상 1이라도 더 올리고 극옵 맞추고 싶다면 이 쪽을 골라서 뜰 때까지 존버하자.

 

 

 

 

 

  100%가 안 뜨는데 이거 왜 이러냐?

 

 

Case 1. 99.n%가 뜰 경우

 

칩셋이 부족한 것이니 더 모으거나 타협하도록 하자. 극옵을 못 맞춰서 기부니가 더러운 거 빼면 실사용시 아무 문제 없다.

 

살상, 파쇄, 정밀 한자릿수 차이때문에 몹을 못 잡는다면 그건 애초에 못 잡는 몹에게 꼬라박은 거라 보면 됨.

 

AGS-30을 제외한 다른 병종은 사속 최대로 나오는 최저점을 기준으로 정리해 둔 게 몇 있으므로 장전이 부족할 경우 타협하지 말고 존버할것.

 

뭔가 이상하다 싶을 경우 게시판에 캡쳐 올리고 이거 써도 되냐 물어보고 쓸지 말지 결정하도록 하자. 가/불가여부 판단해줄 것임.

 

 

Case 2. 아예 분석이 안 될 경우

 

시뮬레이터 하단 초록색 바가 끝까지 찼는데 아무것도 안 뜬다면 필터링을 잘못 했거나 칩셋이 부족한 것이므로

 

필터링을 0~5pt까지 조정하거나 칩셋을 좀더 모으도록 하자.

 

밑에 초록색 바가 안 올라가면 시뮬레이터 버그이므로 시뮬레이터 제작하는 친구에게 문의해라.

 

 

질문 및 피드백 받음

+ Recent posts